카테고리 없음
우리나라 성씨 많은 순위 알아보기
WellnessLife
2024. 10. 28. 13:38
조선 초기 우리나라에서 김(金), 이(李), 박(朴), 최(崔), 정(鄭), 강(姜), 조(趙), 윤(尹), 장(張), 임(林) 등 성씨를 가진 사람은 전체 인구의 약 10%에 불과했습니다. 당시 유랑민이나 천민 계층에 속한 사람들은 성씨가 없어 ‘떡쇠,’ ‘돌쇠,’ ‘마당쇠,’ ‘개똥이,’ ‘삼돌이,’ ‘오월이,’ ‘유월이,’ ‘향단이’ 등 이름으로만 불렸습니다.
1909년 일제가 민적법을 시행하며 유랑민과 노비들도 성씨를 가질 수 있게 되어 호적을 만들게 되었으며, 이때 인기를 끌었던 성씨들이 오늘날의 10대 성씨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한 12대 복성(두 글자로 구성된 성씨)으로는 남궁(南宮), 황보(皇甫), 제갈(諸葛), 사공(司空), 선우(鮮于), 서문(西門), 독고(獨孤), 동방(東方), 장곡(長谷), 어금(魚金), 강절(岡田), 망절(網切)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인구의 약 64%가 10대 성씨를 가지고 있지만, ‘피,’ ‘두,’ ‘국,’ ‘예,’ ‘경,’ ‘봉,’ ‘사,’ ‘부,’ ‘황,’ ‘목,’ ‘모,’ ‘빈,’ ‘반,’ ‘계,’ ‘마,’ ‘사공,’ ‘제갈,’ ‘독고,’ ‘감,’ ‘음,’ ‘동,’ ‘좌,’ ‘형,’ ‘온,’ ‘전,’ ‘범,’ ‘승,’ ‘간,’ ‘서문’ 등은 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성씨입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