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제사상 차림법, 지방 쓰는 법

WellnessLife 2024. 9. 5. 11:41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놓습니다. ‘반서갱동(飯西羹東)’이라는 말처럼, 남자 조상의 신위와 밥, 국, 술잔은 왼쪽에, 여자 조상은 오른쪽에 배치합니다. 남자 조상은 서쪽(왼쪽), 여자 조상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합니다.

‘어동육서(漁東肉西)’에 따라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놓습니다. 또한, ‘두동미서(頭東尾西)’를 기억하면 생선의 머리는 동쪽(오른쪽), 꼬리는 서쪽(왼쪽)에 위치해야 합니다.

‘생동숙서(生東熟西)’ 원칙에 따르면, 나물은 서쪽(왼쪽), 김치는 동쪽(오른쪽)에 배치합니다. ‘좌포우혜(左脯右醯)’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왼쪽에, 식혜(수정과 같은 발효 음식)는 오른쪽에 놓는 것을 뜻합니다.

과일 배치는 ‘조율이시(藻栗梨枾)’ 원칙에 따라 대추, 밤, 배, 감 순서로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나열합니다. 또한, ‘홍동백서(紅東白西)’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오른쪽), 흰 과일은 서쪽(왼쪽)에 배치합니다.

제사상은 방향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지내기 편한 곳에 차리면 되지만, 보통 신위(神位, 지방)를 북쪽에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북쪽은 음양오행설에서 수(水)를 상징하며, 가장 높은 위치로 여겨집니다. 제사상 차림 시, 신위 오른쪽이 동쪽(오른쪽), 왼쪽이 서쪽(왼쪽)입니다.

신위 작성 시에는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씁니다. 한 분만 돌아가셨다면 신위를 중앙에 적습니다. 학생(學生)은 특별한 직책이 없음을 의미하며, 관직이 있던 분은 직책을 적을 수 있습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